책 요약/경제경영도서 요약

책 요약: 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 / 장하준 / 부키

모닥불 책읽기 2025. 1. 24. 16:16
반응형

 

 

' 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'의 일부를 요약한 글입니다. (참고: 북코스모스)

 

마늘과 한국인의 소비

  • 한국인의 마늘 소비: 한국인은 마늘을 매우 많이 소비하는데, 2010년에서 2017년 사이 1인당 연간 소비량이 7.5킬로그램에 달했다.
    • 2013년에는 이 수치가 8.9킬로그램으로 증가하였다.
    • 이는 이탈리아인(2013년 720그램)보다 10배 이상 많은 양이다.
  • 마늘 소비의 실제: 한국인이 소비하는 마늘의 대부분은 김치 국물이나 양념에 섞여 소비되기 때문에, 실제로 마늘을 직접 먹는 양은 이보다 적을 수 있다.
  • 마늘의 문화적 상징성: 한국은 마늘을 국가 정체성의 중요한 요소로 여기며, 마늘은 한국 음식 문화의 초석으로 자리 잡고 있다.

영국의 마늘에 대한 인식

  • 1980년대 영국 음식 문화: 영국의 음식 문화는 보수적이며, 외국 재료에 대한 거부감이 강하다.
    • 특히 마늘은 영국인들에게 야만적인 음식으로 여겨졌다.
  • 영국인의 마늘 소비 태도: 많은 영국인들은 마늘을 먹는 것을 주변 사람들을 공격하는 행위로 간주하였다.
  • 개인적 경험: 저자는 영국에서의 음식 문화에 대한 불만을 느끼고, 결혼 후 본격적으로 요리를 시작하게 되었다.

영국 음식 혁명과 요리의 변화

  • 영국 음식 혁명: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영국인들은 자국 음식의 형편없음을 인정하고, 다양한 외국 요리를 받아들이기 시작하였다.
    • 런던은 다양한 국제 요리를 제공하는 음식 천국으로 변모하였다.
  • 다양한 음식 문화: 한국식, 일본식, 폴란드식 등 다양한 음식이 존재하며, 이는 영국 음식 문화의 다양성을 보여준다.
  • 국제적 트렌드: 교역, 이민, 해외여행의 증가로 인해 사람들은 외국 음식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게 되었다.

경제학의 변화와 단일 경작

  • 경제학의 발전: 1970년대까지 경제학은 다양한 학파가 공존하는 분야였다.
    • 고전학파, 마르크스주의, 신고전학파 등 여러 학파가 서로 교류하며 발전하였다.
  • 신고전학파의 지배: 1980년대 이후 경제학 분야는 신고전학파 경제학이 주류가 되면서 단일 경작 현상이 나타났다.
    • 이는 경제학의 지적 유전자 풀을 좁히는 결과를 초래하였다.
  • 다양성의 상실: 현재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다른 학파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거나, 그 학파들이 열등하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.

멸치의 다양한 소비문화

  • 멸치의 상징성: 멸치는 잔챙이 생선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, 음식 문화에서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.
  • 아시아와 지중해의 멸치 소비: 아시아에서는 멸치를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하며, 특히 한국에서는 말린 멸치를 고추장이나 간장으로 조리하여 반찬으로 즐긴다.
  • 지중해식 멸치 소비: 지중해 지역에서는 멸치를 소금에 절여 오일에 보존하는 방식으로 소비된다.

페루의 경제와 구아노

  • 구아노의 중요성: 구아노는 페루의 경제적 번영을 이끈 중요한 자원으로, 질산염과 인이 풍부한 비료로 사용되었다.
  • 구아노의 수출: 페루는 구아노를 수출하여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며, 이는 바닷새의 배설물에서 얻어진 것이다.
  • 구아노의 쇠퇴: 과다 채취로 인해 구아노 수출이 감소하였고, 이후 칠레의 초석 발견으로 인해 페루의 경제는 다시 영향을 받게 되었다.

기술 혁신과 자원 대체

  • 기술 혁신의 영향: 19세기 기술 혁신은 천연자원의 수출길을 막는 결과를 초래하였다.
    • 인공 염료의 발명은 천연염료 산업을 파괴하였다.
  • 하버-보슈법: 독일의 과학자 프리츠 하버가 개발한 기술은 인공 비료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구아노의 중요성을 감소시켰다.
  • 자원 대체의 필요성: 고도의 기술력은 자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며, 이는 산업화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.

소고기 산업과 우루과이

  • 우루과이의 소고기 산업: 우루과이는 인구가 적지만, 소고기 산업에서 세계적인 선두주자이다.
    • 1인당 소의 숫자가 가장 많고, 소고기 추출물의 대량 생산을 최초로 시작하였다.
  • 소고기 추출물의 역사: 독일의 유스투스 폰 리비히가 소고기 추출물을 발명하였고, 이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영양소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다.
  • 렘코의 성공: 리비히스 익스트랙트 오브 미트 컴퍼니(LEMCO)는 소고기 추출물 제품을 성공적으로 상용화하였다.

비스마르크와 호밀의 결혼

  • 호밀의 중요성: 호밀은 독일의 주요 곡물로, 독일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.
  • 비스마르크의 정치적 동맹: 비스마르크는 호밀 생산자와 중공업 자본가 간의 정치적 동맹을 형성하여 독일 경제를 발전시켰다.
  • 보호주의 정책: 비스마르크는 미국 곡물에 관세를 부과하여 독일 농산물을 보호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.

복지 국가의 기원과 비스마르크

  • 복지 국가의 설립: 비스마르크는 노동자를 보호하는 보험 제도를 도입하여 세계 최초의 공공 보험을 만들었다.
  • 복지 정책의 발전: 1883년 공공 의료 보험, 1889년 공공 연금을 제정하여 복지 국가의 기초를 마련하였다.
  • 사회주의와의 관계: 비스마르크는 반사회주의자였지만, 사회주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복지 정책을 도입하였다.

복지 국가에 대한 오해

  • 복지 혜택의 이해: 복지 혜택은 무료가 아니며, 모든 시민이 비용을 부담한다.
  • 사회 보장 분담금: 복지 혜택의 많은 부분은 사회 보장 분담금에서 지출되며, 이는 모든 납세자가 부담하는 것이다.
  • 복지 국가의 장점: 복지 국가는 시민 모두가 동일한 보험 패키지를 대량 구매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.

딸기 산업과 이민 노동자

  • 딸기의 재배: 딸기는 노동 집약적인 작물로, 수확 시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.
  • 이민 노동자의 역할: 미국의 딸기 생산량의 80%가 캘리포니아에서 나오며, 이곳의 노동력 대부분은 멕시코에서 공급된다.
  • 딸기 수확의 어려움: 딸기 수확은 힘든 노동으로 여겨지며, 노동자들은 심각한 신체적 고통을 겪을 수 있다.

자동화와 일자리의 미래

  • 농업의 기계화: 농업은 기계화가 진행되고 있으나, 딸기 수확은 아직 기계화되지 않았다.
  • 자동화의 영향: 자동화는 기존 일자리를 없애기도 하지만,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도 있다.
  • 정책적 대응: 정부는 재훈련과 실업수당을 통해 자동화로 인한 일자리 상실에 대응할 수 있다.
반응형